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5

리팩토링 세미나 자료 1판으로 리팩토링 세미나를 했다. 그런데 아무래도 2판으로 보충 세미나를 해야할듯? 원래는 키노트로 했는데 첨부파일이 10M여서 압축본, ppt 로 올림 2020. 11. 30.
[ruby]callback과 filter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의 값 업데이트 하기 이것저것 테스트하다보니 데이터 값을 임의로 업데이트를 해야하는 경우가 생겼다. 업데이트를 잘못하면 callback과 filter도 같이 작동되기 때문에 데이터 값들이 막 엉망이 될 수도 있다. 그래서 callback과 filter를 거치지 않는 업데이트 방법이 필요하다. 이 때는 update_column을 이용하면 된다. record.update_column(:key, value) 2020. 8. 9.
[ruby]ActiveRecord의 delete와 destory의 차이 Active record를 삭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에 delete와 destroy가 있다. 실수로 생성한 데이터를 삭제할 때, filter와 callback을 모두 스킵하고 삭제해야 할 때가 있다. 그 때에는 delete를 사용한다. record.delete 그게 아니라 filter와 callback을 모두 불러야 할 때에는 destroy를 사용한다. record.destroy 매번 헷갈려서 기록! 2020. 8. 9.
Linux에서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기 linux에서 root와 webapp 계정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다. 나의 경우, ssh 키 생성하는데 원하는 폴더에 생기지 않았다. 찾아보니 계정 문제였다. 로그인은 root로 했는데 ssh키는 webapp 계정의 홈 폴더에 생성해야하는 경우였다. 그래서 root로 로그인을 했지만 webapp로 계정 전환이 필요했다. 그럴 때 계정 전환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 $ su webapp # webapp로 로그인하기 2020. 8. 9.
[SSH]로그인 없이 Git 저장소 이용하기 서버를 한 대 받아서 git 프로젝트를 설치했다. 그런데 매번 pull 할 때마다 계정을 넣고 있었다. 그래서 로그인 없이 git 프로젝트 가져오는 세팅을 하기로 했다. 1. RSA 키 생성하기 2. Github에 Deploy Key 등록 3. 확인하기 4. https 저장소를 ssh로 바꾸기 1. RSA 키 생성하기 키 생성은 간단하다. $ ssh-keygen -t rsa -t : 암호화 타입을 지정한다. 여기서는 RSA로 한다. 파일이 잘 만들어졌다면 아래와 같이 뜰 것이다. 그렇다면 2번 단계로 넘어가자. Generating public/private rsa key pair.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(/home/webapp/.ssh/id_rsa): /path.. 2020. 7. 30.